RESEARCH

RESEARCH PROJECTS

ONGOING PROJECTS

1) 초거대 AI기반 심리케어 "상담사 보조 서비스" 개발
  • 프로젝트 :  심리치료의 효율성 증진을 위해 LLM을 활용한 플랫폼 개발을 목적으로 함. 본 사업은 상담일지 자동화와 정신병리 및 치료 과정 모니터링을 위한 음성 기반 바이오마커를 개발하고, 초보 치료사를 위한 근거 기반 치료 지도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함.
  • 사업협력기관 : 42Maru, LG U+, 셀바스 AI, 다인, KAIST 김재철AI대학원, 서울아산병원
  • 연구지원기관 : 정보통신산업진흥원
2) 청소년·청년 자살·자해 중재 프로그램 개발 연구
  • 연구프로젝트 : 자살 시도 및 자해 행동을 보이는 청소년·청년을 대상으로 하는 치료 모듈 개발 연구.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되는 모듈은 인지행동치료(CBT), 변증법적 행동치료(DBT), 수용전념치료(ACT), 대인관계 및 사회적 리듬치료(IPSRT) 등 다양한 근거기반치료를 바탕으로 구성됨. 특히, 수면-각성 리듬을 안정화하는 것이 정서 및 자해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는 데 중점을 둠.
  • 사업협력기관 : 아주대학교 병원 정신건강의학과
  • 연구지원기관 : 한국보건산업진흥원
3) 웨어러블 기기(Samsung Galaxy Watch & Ring)를 활용한 머신러닝 기반 수면 코칭 앱 개발
  • 연구프로젝트 : 인지행동치료 이론과 습관 형성 과학에 기반한 개인 맞춤형 수면 건강 코칭 프로그램을 개발. 웨어러블 기기를 통해 수집된 수면 데이터를 LLM 기반 기술로 분석하여, 맞춤형 수면 개선 전략을 제공하고자 함.
  • 사업협력기관: 삼성전자
4) 생태학적 순간 측정법을 활용한 취침시간 지연행동의 주요 기제 검증: 디지털 정서조절 접근
  • 연구프로젝트 : 생태학적 순간 측정법(Ecological Momentary Assessment)을 활용한 취침시간 지연행동 주요 기제 검증. 하루 동안 취침시간 지연행동과 관련된 기능적 충족 여부에 따른 취침시간 지연행동 변동성을 분석함. 궁극적으로 취침시간 지연행동이 수면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함.
5) 엄마와 아기의 수면 개선을 위한 연구
  • 연구프로젝트 :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6~24개월 영유아와 부모들의 수면 양상 및 영유아 수면 문제의 발생 기전을 규명함. 영상수면검사를 활용하여 실제 생활에서 영유아의 수면을 객관적으로 측정하고, 이를 바탕으로 수면 개선을 위한 인지행동치료 프로그램을 개발함. 또한, 무작위 임상 실험을 통해 치료의 효과성을 검증하고자 함.
  • 공동연구기관 : Monash University, 서울아산병원 (울산대학교 정신건강의학과)
  • 산업협력기관 : Nanit
  • 연구지원기관 : 한국연구재단
6) The Hierarchical Taxonomy Of Psychopathology (HiTOP)
  • 연구프로젝트 : DSM-5, ICD-10과 같은 기존 진단 체계의 한계를 해결하기 위해 개발된 새로운 정신질환 분류 체계인 HiTOP 모델을 탐구함. 기존 진단 체계와 평가 도구를 한국에 적용할 수 있도록 번안하고, 생애 전반에 걸쳐 나타나는 정신병리와 관련된 초진단적 요인을 탐색함. 
  • 공동연구기관 : 서강대학교, 한림대학교, 충북대학교

  


COMPLETED PROJECTS

1) 소방공무원 활동체계 구축 및 업무 연속성 확보 연구
  • 연구프로젝트 : 소방공무원 대상 불면증 개선 프로그램 개발과 적용을 통한 피로도, 주간졸림, 집중도 개선방안 수립 연구. 
  • 연구지원기관 : 소방청
2) 일반인과 임상군에게 적용가능한 취침시간 지연행동 개선을 위한 심리치료개발
  • 연구프로젝트 : 일반인을 대상으로 단독 적용 가능한 취침시간 지연행동 개선을 위한 행동치료를 개발하고 임상군에게는 기존 치료에 추가할 수 있는 치료적 모듈을 개발하고 효과성을 검증하는 연구.
  • 연구지원기관 : 한국연구재단
3) KoGES Project
  • 연구프로젝트 : 20년 이상 지속되어 온 안산지역 코호트 자료 분석; 수면 장애가 치매나 정상적 노화에 미치는 요인, 뇌영상(MRI)과 인지 분석, 노년기 악몽과 심혈관 질환 간 관계 분석; 지속적 불면증, 우울증과 사망 간 생존분석
  • 공동연구기관 : 고려대학교 안산병원 인간유전체연구소
  • 연구지원기관 : 질병관리본부

COLLABORATORS

KAIST 수리과학과 김재경 교수님

KAIST 김재철 AI 대학원 전기 및 전자공학과 신진우 교수님

강원대학교 심리학과 정은경 교수님

고려대학교 안산병원 인간유전체연구소 신철 교수님

고려대학교 안암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조철현 교수님

목원대학교 심리학과 전새봄 교수님

서강대학교 심리학과 김현식 교수님

서울삼성병원 수면클리닉 김재훈 교수님

서울삼성병원 수면클리닉 주은연 교수님

서울삼성병원 수면클리닉 최수정 교수님

서울아산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정석훈 교수님

아주대학교 경기남부 해바라기 센터 장형윤 교수님

아주대학교 정신건강의학과 신윤미 교수님

연세대학교 원주캠퍼스 작업환경의학과 안연순 교수님

연세대학교 심리학과 손영우 교수님

충북대학교 심리학과 안정광 교수님

한림대학교 가정의학과 박경희 교수님

한림대학교 심리학과 조용래 교수님

Chinese University of Hong Kong, Dept. of Psychiatry, Yun-Kwok Wing & Jihui Zhang 교수님

Chengchi University, Dept. of Psychology, Chien-Ming Yang 교수님

Flinders University, Dept. of Psychology, Michael Gradisar 교수님

Harvard Medical School, Dept. of Psychiatry, Eric Zhou 교수님

Hong Kong University, Dept. of Psychology, Shirley Li 교수님

Monash University, Dept. of Psychology, Bei Bei 교수님

Stanford University, Dept. of Psychiatry, Renske Lok, Ph.D

Stanford University, Dept. of Psychiatry/Sleep Medicine, Jamie Marc Zeitzer 교수님

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 신경과 김호성 교수님


TEL : +82-2-920-7473

FAX : +82-2-920-2040

E-MAIL : sungshinpsycho@gmail.com

성신여자대학교 심리학과 행동수면과학과 심리치료 연구실
서울 성북구 보문로34다길 2 수정관 B동 607호

COPYRIGHT ⓒ 2024 BEST LAB.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