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UESTIONNAIRES

CHRONOTYPE

한국판 질문지한국판 질문지 PDF +

한국판 타당화 논문
Lee, J. H., Kim, S. J., Lee, S. Y., Jang, K. H., Kim, I. S., & Duffy, J. F. (2014).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Korean version of Morningness–Eveningness Questionnaire in adults aged 20–39 years. Chronobiology international, 31(4), 479-486.
한국판 타당화 PDF +

원논문

 Horne, J. A., & Östberg, O. (1976). A self-assessment questionnaire to determine morningness-eveningness in human circadian rhythms. International journal of chronobiology.


한국판 질문지한국판 질문지 PDF +

한국판 타당화 논문
Suh, S., Kim, S. H., Ryu, H., Choi, S. J., & Joo, E. Y. (2018). Validation of the Korean Munich Chronotype Questionnaire. Sleep and Breathing, 22(3), 773-779.

류혜라. (2017). 노인을 대상으로 한 뮌헨 일주기 유형 질문지(Munich ChronoType Questionnaire, MCTQ) 타당화 및 노인의 일주기 유형에 따른 수면 양상과 정서적 특징. 석사학위논문, 성신여자대학교, 서울.
한국판 타당화 PDF +

류혜라(2017) PDF +

원논문

Drake, C., Richardson, G., Roehrs, T., Scofield, H., & Roth, T. (2004). Vulnerability to stress-related sleep Roenneberg, T., Wirz-Justice, A., & Merrow, M. (2003). Life between clocks: daily temporal patterns of human chronotypes. Journal of biological rhythms, 18(1), 80-90.

원논문 PDF +
한국판 질문지한국판 질문지 PDF +

한국판 번안 질문지 사용 논문
최수정, 서수연, 주은연 (2017). 한국어판 교대근무자용 뮌헨 일주기유형 설문지를 통해 분석한 교대근무 간호사의 수면-각성 양상과 일주기유형. Journal of Sleep Medicine, 14(1), 23-35
한국판 번안 논문 PDF +

원논문

Juda, M., Vetter, C., & Roenneberg, T. (2013). The Munich chronotype questionnaire for shift-workers (MCTQShift). Journal of biological rhythms, 28(2), 130-140.

원논문 PDF +

TEL : +82-2-920-7473

FAX : +82-2-920-2040

E-MAIL : sungshinpsycho@gmail.com

성신여자대학교 심리학과 행동수면과학과 심리치료 연구실
서울 성북구 보문로34다길 2 수정관 B동 607호

COPYRIGHT ⓒ 2024 BEST LAB. ALL RIGHTS RESERVED